본문 바로가기

이슈

(5)
&5. 사색 상실의 시대 소크라테스의 '디아트리베'를 본받아 우리는 '앎'에 대한 개념을 새롭게 정의할 필요가 있다. 지식의 이동을 '앎'으로 착각한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가. 영화를 보고 나온 한 친구는 "재밌네", "웃기다"라고 가볍게 느낌을 말할 뿐 누군가가 해석을 정리해 놓은 유튜브를 들여다보기 바쁘다. 정보는 하염없이 쏟아지지만 우리는 정보를 수령만 할 뿐, 그것을 정돈하는 것마저 아웃소싱하고 있다.  이런 형태가 만연해지며 발견할 수 있는 또 한 가지 아쉬 점은 타인의 정보를 습득한 걸 마치 자기 정보인 듯 행동한다는 점이다. 한 번 배운 것을 습득으로 착각하면 깊이 있는 대화는 고산지대의 산소처럼 점점 희박해진다. 영상에서 떠드는 정보가 곧 '나의 고유한 생각'이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우린 정보가 쏟아지는..
& 4) '통속의 뇌' - 뇌 안의 우주와 우리의 존재 Interstellar OST : "First Step" Piano cover매트릭스 어웨이크(PS5) - 언리얼 엔진5 테크 데모 튜링테스트는 인공지능의 지능을 평가하는 테스트로 인간과 유사한 수준으로 대화능력을 갖추었는지 보는 것이다. 즉 평가자가 인공지능과 인간을 구별하지 못하면 테스트에 성공하게 된다. 현재 웬만한 산업기반에 영향을 주기 시작한 챗GPT는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의 약자로 미리 훈련된 생성변환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거대 언어 모델 LLM(Large Language Model)은 아무리 혁신적이라 해도 조 단위의 알고리즘을 학습해서 인간의 대화를 흉내 내는 프로그램일 뿐이다. 자아를 가진 강인공지능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현재 AI모델들은..
& 3) '시뮬레이션 우주론' - 현실이라 믿고 있는 세상 Another Life - jadu heart " 이 세상이 가상 시뮬레이션이 아닐 확률은 10억 분의 1이다. " 일론 머스크는 2016년 어느 TV쇼에 나와서 한 말이다. 어그로꾼 일론머스크가 이런 말을 했다고 해서 허무맹랑한 발언일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사실 굉장히 일리 있을 수 있는 말이다. 블랙미러 시즌6 '존은 끔찍해' 라는 에피소드에서 양자컴퓨터에 의한 평행우주 가상시뮬레이션이 나와서 문득 생각이 났다.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 고도로 발전된 문명에 의해 만들어진 가상 세계일 수 있다는 가능성은 어떻게 보면 철학적이면서도 과학적인 관점에서도 충분히 탐구해 볼 만한 가치가 있다. 시뮬레이션 우주론 그 유명한 이중슬릿 실험해서 관찰자가 있고 없음에 따라 달라지는 결과를 설명하지 못..
& 2) AI그림의 혁명 파이썬 기반의 웹설치형인 스테이블 디퓨전 (Stable Diffusion)으로 시작했던 AI그림은 현재 웹기반인걸 넘어서 챗GPT와 결합하고, 표현되는 게 한계가 없어져 사용자가 상상하는 거의 모든 것을 시각화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 SD 초기 시절에는 대충 프로그램을 3개 설치하고 웹 IP로 접속해 그 당시 공통되었던 네거티브 프롬프트를 붙여 넣고, 엔진 파일을 찾아 다운로드하여 지정폴더에 넣고 적용해야 했으며, 시드나 블러강도 등 여러 가지 설정값을 세팅해야 프롬프트를 직접 입력해 그림을 만들 수 있는 준비가 되었었다. 여러 가지 플러그인을 추가할 수 있으며, 프롬프트도 영어로 서술형이 아닌 단어 나열하는 방식으로 배열순서나 괄호기호의 숫자를 이용한 강도 조정 등 여러 규칙이 있었지만 그것도 1..
& 1) '언더도그마' 에 대해 러시아의 어느 옛날이야기에는 요술 램프를 우연히 발견한 농부가 등장한다. 농부가 램프를 문지르자 요정이 나타나 소원을 빌라고 말한다. 농부가 말했다. "이웃집에 젖소 한 마리가 생겼는데 가족이 다 먹고도 남을 만큼의 우유를 얻어 큰 부자가 됐어." 듣고 요정이 말했다. "그럼 이웃집처럼 젖소 한 마리를 구해드릴까요? 아니면 두 마리?" 농부가 대답했다. "아니, 이웃집 소를 죽여줘." 이 이야기는 시기나 질투의 개념을 보여준다. 젖소가 죽어 옆집 사람이 우유를 얻지 못하길 바라거나 더 나아가 옆집 사람이 죽기를 바라는 것은 시기이다. 이에 반해 젖소를 갖기 못한 농부가 단지 젖소가 없다는 이유로 당연히 도덕적 우위에 있게 되고, 젖소를 가진 농부는 단지 젖소를 가지고 있다는 이유로 비난받아 마땅하다고 생..